반응형 Computer Science/Computer Networks33 [네트워크] SDN과 Openflow 동작 원리와 미들박스(Middlebox) Generalized Forwarding: match plus actionGeneralized Forwarding란 네트워크 라우터(router)에서 패킷(packet)을 처리할 때, 단순히 목적지(destination) IP 주소만을 기준으로 포워딩(forwarding)하는 것이 아니라, 패킷 헤더(header)의 다양한 필드(field)를 기준으로 여러 가지 동작(action)을 수행할 수 있는 방식을 의미한다.포워딩의 기본 개념각 라우터(router)는 forwarding table(포워딩 테이블=flow table)을 가진다."match plus action" 추상화(abstraction): 도착한 패킷의 비트(bit) 값을 테이블과 매칭(match)하고, 그 결과에 따라 특정 동작(action).. 2025. 6. 4. [네트워크]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동작 원리와 IPv6 도입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는 내부 네트워크의 모든 device들이 외부 세계(인터넷)에서는 단 하나의 IPv4 address만 사용하는 기술이다.즉, 내부 네트워크(예: home network 10.0.0/24)에 여러 device(10.0.0.1, 10.0.0.2 등)가 있더라도, 외부에서는 모두 동일한 NAT IP address(예: 138.76.29.7)만 보인다.내부 네트워크에서 외부로 나가는 모든 datagram은 동일한 NAT IP address(예: 138.76.29.7)를 source로 사용하지만, source port number는 각기 다르다.내부 네트워크로 들어오는 datagram은 원래대로 내부.. 2025. 5. 30. [네트워크] IP 데이터그램 형식과 주소 할당 방식(서브넷, DHCP, CDIR) Network Layer: InternetNetwork Layer는 인터넷에서 host와 router의 핵심 기능을 담당한다.주요 기능에는 Path-selection algorithms(경로 선택 알고리즘), IP protocol(IP 프로토콜), ICMP protocol(ICMP 프로토콜)이 있다.Path-selection algorithmsrouting protocols(OSPF, BGP), SDN controller 등에 의해 구현된다.forwarding table(포워딩 테이블)을 사용해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가는 경로를 결정한다.IP protocoldatagram format(데이터그램 포맷), addressing(주소 지정), packet handling conventions(패킷 처리 규칙)을.. 2025. 5. 30. [네트워크] 라우터 내부 구조, 포트, 버퍼 관리, 스케쥴링 내부 동작 설명 Router Architecture Overview (라우터 아키텍처 개요)라우터(Router)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그램(datagram,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forwarding)하는 장치이다. 라우터의 내부 구조는 크게 두 가지 평면(plane)으로 나뉜다.Control Plane(제어 평면):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동작하며, 라우팅(routing)과 관리(management)를 담당한다. 라우팅 프로토콜을 통해 라우팅 테이블을 계산하고, 이 결과를 데이터 평면에 전달한다. 밀리초(ms) 단위의 시간 프레임에서 동작한다.Data Plane(데이터 평면, Forwarding Plane): 하드웨어 기반으로 동작하며, 실제 패킷 전달(forwarding)을 수행한다. 나노초(ns) 단위의 매우 빠른 시.. 2025. 5. 28.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 개요와 라우터, data plane, control plane Network-layer services and protocolsNetwork-layer(네트워크 계층)은 transport segment(트랜스포트 계층의 세그먼트)를 sending host(송신 호스트)에서 receiving host(수신 호스트)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sender(송신자): 세그먼트를 datagram(데이터그램)으로 캡슐화(encapsulate)하여 link layer(링크 계층)로 전달한다.receiver(수신자): 데이터그램에서 세그먼트를 추출하여 transport layer protocol(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로 전달한다.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은 모든 Internet device(인터넷 장치)에 존재한다. 여기에는 hosts(호스트)와 routers(라우터)가 포함된다... 2025. 5. 28. [네트워크] TCP 혼잡제어의 원리와 발전, QUIC 프로토콜의 발달 (TCP congestion control) TCP Congestion Control: AIMD 메커니즘의 동작 원리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에서 사용하는 혼잡 제어(congestion control) 메커니즘 중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AIMD(Additive Increase Multiplicative Decrease)이다.이 메커니즘은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을 효과적으로 탐지하고 활용하기 위한 접근 방식이다.AIMD의 기본 원리AIMD approach는 송신자가 패킷 손실(네트워크 혼잡 상태)이 발생할 때까지 전송 속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다가, 손실 이벤트 발생 시 전송 속도를 급격하게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 메커니즘은 두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Additive Increase(가산적 증가.. 2025. 5. 19. [네트워크] 혼잡 제어의 원리와 종류 (Principles of Congestion Control) 혼잡 제어의 원리(Principles of Congestion Control)혼잡(Congestion)은 비공식적으로 "너무 많은 출발지가 너무 많은 데이터를 너무 빠른 속도로 전송하여 네트워크가 처리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네트워크에서 혼잡이 발생하면 긴 지연(long delays)과 패킷 손실(packet loss)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이는 라우터 버퍼에서의 대기(queueing)와 버퍼 오버플로우로 인한 패킷 버림 현상으로 발생한다.혼잡 제어와 흐름 제어의 차이혼잡 제어(congestion control)와 흐름 제어(flow control)는 서로 다른 개념이다. 혼잡 제어는 너무 많은 송신자가 너무 빠르게 데이터를 보내는 상황을 관리하는 것이고, 흐름 제어는 한 송신자가 한 수신자에게 .. 2025. 5. 15.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