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 지식/네트워크

[네트워크 입문] 네트워크 전반에 대한 이해

by 코딩하는 동현 2025. 2. 5.

“📖 해당 내용은  『풍부한 그림과 사진으로 배우는 네트워크 쉽게, 더 쉽게』(저자: 미카미 노부오 저자)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가정용 네트워크 vs 기업용 네트워크, 무엇이 다를까?

 

가정과 기업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는 규모와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존재한다.
가장 큰 차이점으로는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네트워크의 물리적 규모가 있다.
가정용 네트워크는 개인적인 인터넷 사용이 주 목적이며, 기업용 네트워크는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보다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1. 가정용 네트워크란?

가정용 네트워크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주로 광회선(FTTH), ADSL, 케이블 인터넷을 이용하며, 라우터(공유기)를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가정용 네트워크의 특징

  • 주요 목적: 웹 서핑, 동영상 스트리밍, 게임, 이메일 사용
  • 네트워크 구성: 공유기(라우터), Wi-Fi, 모뎀, 스마트 기기(PC, 스마트폰, 태블릿 등)
  •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메신저, 스트리밍 서비스, 이메일
  • 보안 수준: 기본적인 보안 (Wi-Fi 비밀번호 설정, 방화벽 등)
  • 속도: 최근 광인터넷(FTTH)이 보급되면서 기가비트급 속도 제공

가정용 네트워크는 소규모 환경에서 사용되며, 네트워크 구성 및 유지보수가 비교적 간단한 것이 특징이다.


2. 기업용 네트워크란?

기업용 네트워크는 회사에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구축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단순한 인터넷 연결뿐만 아니라 사내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데이터센터, VPN(가상 사설망) 등을 포함한다.

기업용 네트워크의 특징

  • 주요 목적: 사내 네트워크 운영, 데이터 공유, 업무용 애플리케이션 실행
  • 네트워크 구성: 기업 전용 인터넷 회선, 내부 네트워크(LAN), 서버, 방화벽, VPN, 사내 전용 전화망
  •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그룹웨어, ERP(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화상회의, 사내 포털
  • 보안 수준: 강력한 보안 정책 적용 (방화벽, IDS/IPS, VPN, 내부 네트워크 분리)
  • 속도: 대역폭이 크며, 서버 및 데이터센터와 연결되어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

기업 네트워크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 보안과 안정성이 중요한 요소이다.


3. 가정용 네트워크와 기업용 네트워크의 주요 차이점

1) 네트워크 인프라 차이

가정용 네트워크는 단순한 인터넷 회선을 사용하지만, 기업용 네트워크는 **전용 네트워크, 사내 전화망, 거점 간 연결(VPN, MPLS 등)**을 추가적으로 구축한다.

2) 보안 수준 차이

가정용 네트워크는 기본적인 보안 설정만 하지만, 기업용 네트워크는 방화벽(Firewall), IDS/IPS(침입 탐지 및 방지 시스템), 네트워크 접근 제어(NAC) 등 강력한 보안 시스템을 적용한다.

3)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차이

가정에서는 주로 웹 브라우저, 이메일, 스트리밍 서비스가 사용되지만, 기업에서는 그룹웨어, ERP,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등 업무용 소프트웨어가 주로 사용된다.

4) 네트워크 유지보수 차이

가정용 네트워크는 사용자가 직접 관리하지만, 기업 네트워크는 IT 관리자가 운영하며 정기적인 유지보수, 보안 패치, 네트워크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서비스 프로바이더 네트워크와 기업 전용 네트워크

기업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는 크게 서비스 프로바이더 네트워크기업 전용 네트워크(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로 나뉜다.
각각의 특징과 차이점을 살펴본다.


1. 서비스 프로바이더 네트워크란?

서비스 프로바이더 네트워크는 통신 사업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나 통신 캐리어 사업자가 운영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통신 사업자로는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이 있다.

서비스 프로바이더 네트워크의 특징

  • WAN(광역 네트워크) 영역에서 기업용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
  • 기업이 자체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대신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
  • 대표적인 서비스: IP-VPN, 전용 광역 네트워크(WAN), 클라우드 네트워크 서비스
  • 고성능, 높은 신뢰성, 확장성이 요구됨
  • 다수의 기업이 함께 사용하는 네트워크로, 통신사 관리 하에 운영

서비스 프로바이더 네트워크는 기업이 자체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 없이 안정적인 인터넷 및 전용 회선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2. 기업 전용 네트워크(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란?

기업 전용 네트워크(Enterprise Network)는 기업이 자체적으로 구축하고 운영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기업의 업무 환경과 보안 요구사항에 맞춰 개별적으로 설계되며, 업종에 따라 네트워크 구성이 다를 수 있다.

기업 전용 네트워크의 특징

  • 기업 내부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폐쇄적인 네트워크 환경 구축
  • 사내 서버, 그룹웨어, ERP 시스템, 사내 전용 전화망 등 운영
  • 보안이 중요한 환경에서는 방화벽, IDS/IPS, VPN 등 강력한 보안 정책 적용
  • 필요에 따라 WAN 연결,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연동 등의 확장 가능

업종별 네트워크 차이점

기업 네트워크는 업종에 따라 구성 방식이 다르다.

  • 금융업: 강력한 보안 및 기밀성 요구 → 암호화된 네트워크, 내부 접근 통제 강화
  • 제조업: CAD 등 대용량 데이터 송신 → 대역폭 확보, QoS(Quality of Service) 적용
  • 물류/유통업: 실시간 데이터 처리 → 빠른 응답 속도와 클라우드 기반 네트워크 활용

LAN / WAN / MAN

네트워크는 범위에 따라 LAN, WAN, MAN으로 구분된다.

  • LAN (Local Area Network): 건물 내부(사무실, 가정)에서 사용되는 소규모 네트워크
  • WAN (Wide Area Network): 멀리 떨어진 LAN을 연결하는 대규모 네트워크 (기업 본사-지사, 인터넷)
  •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도시 수준의 네트워크로 LAN과 WAN의 중간 규모 (스마트시티, 공공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질수록 속도는 낮아지고, 관리 복잡도와 비용이 증가한다.

 

사내 인트라넷(Intranet) 개요

사내 인트라넷(Intranet)은 기업 내부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독립적인 네트워크이다.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내부 정보 공유, 업무 지원, 데이터 관리 등을 목적으로 구축된다.


1. 사내 인트라넷의 특징

  • 기업 내부 전용 네트워크이며, 외부 인터넷과 분리됨
  • 보안이 강화된 환경에서 내부 정보와 시스템을 운영
  • 기밀성이 높은 업무(인사, 재무, 고객 데이터 등) 처리에 활용

2. 사내 인트라넷에서 활용되는 서비스

  • 인사·급여·재무 데이터 관리
  • 고객 정보 및 사내 문서 공유
  • 사내 포털 및 그룹웨어(회의실 예약, 일정 관리 등)

3. 인터넷과의 차이점

접근 범위 기업 내부 직원만 사용 전 세계 누구나 사용 가능
보안 높은 보안 수준 상대적으로 개방적
용도 내부 업무 지원, 데이터 관리 정보 검색, 커뮤니케이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