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내용은 『풍부한 그림과 사진으로 배우는 네트워크 쉽게, 더 쉽게』(저자: 미카미 노부오 저자)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네트워크의 전체 구성
네트워크는 여러 기술이 결합된 구조이므로, 개별 요소만 배우기보다는 전체적인 구성을 먼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업 네트워크는 규모에 따라 대규모 거점, 중규모 거점, 소규모 거점으로 구분되며, 각 규모에 따라 네트워크 설계 방식이 달라진다.
대규모 거점 (본사 및 대형 지사)
- 본사 또는 대형 지사에 해당
- 200명 이상(또는 200포트 이상)이 연결
- 서울, 대전, 부산 등 주요 도시에 위치
- 네트워크 트래픽이 많고 구조가 복잡함
필요한 네트워크 요소
- 대용량 스위치 및 라우터
- 방화벽 및 고급 보안 솔루션
-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연동
중규모 거점 (일반 지점, 중형 사무실)
- 지점 규모에 해당
- 100~200명(또는 100~200포트)이 연결
- 대구, 울산, 광주 등 중간 규모 도시에 위치
- 대규모 거점보다는 단순하지만,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 필요
필요한 네트워크 요소
- 중형급 라우터 및 스위치
- 사내 서버 및 파일 공유 시스템
- 내부 보안 시스템 적용
소규모 거점 (소형 사무실, 작은 지사)
- 소형 지사나 사무실에 해당
- 50~100명(또는 50~100포트) 규모
- 대도시 외 지역에 위치
- 네트워크 사용자가 적으며, 구조가 단순함
필요한 네트워크 요소
- 기본적인 라우터 및 스위치
- VPN 및 원격 접속 시스템
- 최소한의 보안 솔루션
![](https://blog.kakaocdn.net/dn/oNfit/btsL6lRP86B/s9sVM25QTYmrKBfYPZSZt0/img.png)
소규모 거점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
소규모 거점 네트워크는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LAN, WAN, 스위치, 라우터, 방화벽, IP 전화, 무선 LAN 등의 요소로 구성된다.
LAN과 사용자 단말
- 소규모 거점은 세 개 이내의 네트워크 세그먼트로 구성됨
- 사용자는 OSI 모델과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음
- 네트워크 내에서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단말이 연결됨
WAN 회선
- 소규모 거점에서는 인터넷 VPN을 통한 WAN 연결이 일반적
- 사용자가 적기 때문에 전용 회선보다는 비용 효율적인 VPN 사용이 많음
스위치 (Switch)
- 레이어2 스위치(L2 스위치)가 주로 사용됨
- 네트워크 영역이 한두 개로 단순하기 때문에 고급 L3 스위치가 필요하지 않음
라우터 (Router)
- 소규모 거점에서는 인터넷 VPN을 통한 WAN 연결을 담당
- 내부 사용자 데이터를 다른 거점으로 전달하는 역할 수행
- VPN 경로 확립 및 외부에서 들어오는 공격 차단 기능 포함
방화벽 (Firewall)
- 패킷을 검사하여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는 장비
- 소규모 거점에서는 라우터 내장 방화벽 기능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음
- 간단한 패킷 필터링 기능만으로도 기본적인 보안 가능
IP 전화 (VoIP)
- 소규모 거점에서는 IP 전화만 설치됨
- 실제 음성 서버는 대규모 거점에 위치하고, 거점 간 연결하여 사용
무선 LAN (Wi-Fi 네트워크)
- 무선 LAN 클라이언트,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AP)로 구성
- 소규모 거점에서는 컨트롤러 없이 단순한 무선 AP와 단말 연결 방식 사용
소규모 거점 네트워크는 비용 절감과 단순한 운영을 위해 최소한의 네트워크 장비만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라우터와 방화벽이 통합된 장비를 사용하고, WAN 연결은 VPN으로 해결하며, 무선 LAN과 IP 전화도 최소한의 구성으로 운영하는 것이 특징이다.
중규모 거점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
중규모 거점 네트워크는 소규모 거점보다 사용자 수가 많고,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 비즈니스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중화 구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네트워크 설계가 필요하다.
WAN 회선
- 네트워크 사용자 수와 통신 대상이 많아져 WAN 연결 안정성이 중요
- 네트워크 장애를 방지하기 위해 이중화 구성(백업 네트워크) 적용
이중화 구성 방식
- 하나의 라우터로 복수의 WAN 회선 연결 → WAN 장애 발생 시 백업 회선 사용 가능하지만, 라우터 장애 발생 시 전체 통신 불가능
- 복수의 라우터로 각각의 WAN 회선 연결 → WAN 회선이나 라우터 중 하나가 장애가 발생해도 정상적인 네트워크 운영 가능
후자의 방식이 보다 신뢰성이 높은 네트워크 구성 방식이다.
스위치 (Switch)
- 중규모 거점은 여러 개의 네트워크 영역으로 구성됨
- 건물의 상하 층을 연결하거나, 부서 이동 시 유연한 네트워크 변경이 필요
- 전용 서버 운영으로 인해 네트워크 세그먼트 수도 증가
필요한 네트워크 요소
- 레이어 2 스위치 (L2 스위치): VLAN 기능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유연성 확보
- 레이어 3 스위치 (L3 스위치):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
중규모 거점에서는 네트워크 관리의 유연성이 중요하므로, VLAN 기능을 활용하여 부서 이동이나 조직 개편 시 네트워크 변경을 최소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중규모 거점 네트워크는 이중화 구성과 유연한 네트워크 관리가 중요하다.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 백업 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이 가능하도록 설계해야 하며, VLAN 및 L3 스위치를 활용하여 부서 이동이나 네트워크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대규모 거점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
대규모 거점 네트워크는 사용자 수가 많고 데이터센터와 같은 대규모 인프라가 포함되기 때문에 고성능 장비와 이중화 구성이 필수적이다. 또한, 네트워크 트래픽이 많고 보안 위협이 증가하므로, 보다 강력한 보안 시스템이 요구된다.
LAN과 사용자 단말
- 중규모 거점보다 더 많은 네트워크 영역과 세그먼트를 포함
- 전용 서버룸 또는 데이터센터 운영
-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대용량 데이터 처리 필요
대규모 거점에서는 클라우드 및 데이터센터와 직접 연결되는 경우가 많으며, 내부 네트워크 구조도 복잡해진다.
스위치 (Switch) 이중화
- 네트워크 규모가 크기 때문에 스위치의 이중화 구성 필요
- 스위치-라우터, 스위치-서버, 스위치-PC 간의 연결을 고려한 설계
- 대규모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위해 백업 경로(링크 어그리게이션) 설정
단순한 연결이 아니라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우회 경로를 찾을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핵심이다.
보안 (방화벽)
- 소규모 거점과 달리, 대규모 거점에서는 전용 방화벽 장비를 별도로 구축
- 다양한 네트워크 트래픽(HTTP, FTP, VoIP 등)과 외부 공격(DoS, DDoS, 해킹 등)에 대응해야 함
- 보안 정책이 복잡해지고, 침입 탐지 및 방지 시스템(IDS/IPS), VPN 게이트웨이 등과 함께 운영
보안이 중요한 환경이므로, 단순한 패킷 필터링을 넘어 애플리케이션 레벨 방화벽(WAF)과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시스템도 함께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선 LAN (Wi-Fi 네트워크)
- 대규모 거점에서는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AP)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중앙 관리가 필요
- 무선 LAN 컨트롤러(WLC)를 도입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중앙에서 관리
- 전파 간섭 문제 해결 및 무선 네트워크 최적화
대규모 환경에서는 여러 개의 AP가 동시에 운영되기 때문에, Wi-Fi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로드 밸런싱과 주파수 간섭 관리가 필수적이다.
대규모 거점 네트워크는 고가용성과 보안이 핵심이며, 이를 위해 이중화된 네트워크 구조, 전용 방화벽 시스템, 중앙 집중식 무선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네트워크 장애를 대비한 백업 시스템과 다양한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장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CS 지식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입문] VLAN의 개념과 필요성 (0) | 2025.02.05 |
---|---|
[네트워크 입문] 스위치(Switch)의 등장배경, 개념과 역할 (0) | 2025.02.05 |
[네트워크 입문] WAN의 개념과 구성 요소 (0) | 2025.02.05 |
[네트워크 입문] OSI 7계층과 LAN구조, IP주소 개념 (0) | 2025.02.05 |
[네트워크 입문] 네트워크 전반에 대한 이해 (0) | 2025.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