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내용은 『풍부한 그림과 사진으로 배우는 네트워크 쉽게, 더 쉽게』(저자: 미카미 노부오 저자)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https://blog.kakaocdn.net/dn/sScIl/btsL6qexA7B/nb462sIV0ksRwLnQbRCzOk/img.png)
네트워크 이중화: 중·대규모 거점에서의 신뢰성 확보
기업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신뢰성은 필수적인 요소다. 특히 중·대규모 거점에서는 장애가 발생하면 수많은 사용자가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대비한 네트워크 이중화가 필요하다.
이중화 구성은 스위치 본체 이중화, 포트 및 LAN 배선 이중화, 링크 어그리게이션을 통해 네트워크의 가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1. 스위치 본체 이중화
스위치는 네트워크의 중심 역할을 하므로, 장애 발생 시 대비책이 필요하다. 스위치 본체 이중화는 메인 스위치 장애 발생 시 예비 스위치로 자동 전환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https://blog.kakaocdn.net/dn/dr9LuX/btsL6hhzLN2/cTdVztDMXcSCpyu9omU60K/img.png)
스위치 본체 이중화의 원리
- 기본적으로 두 개의 스위치를 준비하고 한쪽이 고장 나면 자동으로 다른 스위치로 전환된다.
- 네트워크 단절 없이 연속적인 통신 유지가 가능하다.
- 대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필수적인 구성 방식이다.
스위치 본체 이중화의 단점
- 하드웨어 비용 증가
- 관리 복잡성 증가 (네트워크 설정 및 운영 부담)
하지만, 중요한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비용보다 우선된다.
2. 포트 및 LAN 배선 이중화
네트워크 장애는 스위치 본체뿐만 아니라 포트 및 LAN 배선 문제로도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중화된 포트 및 LAN 배선을 통해 자동으로 우회 경로를 제공하여 네트워크를 유지할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AvHNG/btsL7xDGwAC/pNAlvGhJ8ZzFkYamu6HUi0/img.png)
포트 및 LAN 배선 이중화의 역할
- 스위치 포트 장애 시 백업 포트로 자동 전환
- LAN 배선 장애 시 예비 배선을 통해 네트워크 유지
- 네트워크 가용성을 높이고, 단일 장애점(SPOF, Single Point of Failure)을 방지
포트 및 LAN 배선 이중화의 한계
- 네트워크 환경이 복잡해질 수 있음
- 일부 구성에서는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이 필요하여 추가 설정 요구됨
STP(Spanning Tree Protocol)는 이중화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루프를 방지하는 기술로, 네트워크 트래픽이 무한히 순환하는 것을 막아준다. 그러나 대역폭 낭비와 설계 복잡성 증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3. 링크 어그리게이션 (Link Aggregation)
STP를 적용하면 특정 포트를 차단해야 하므로 일부 대역폭이 낭비된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이 링크 어그리게이션이다.
여러 개의 네트워크 링크를 묶어 하나의 논리적 링크로 사용하여 네트워크 성능과 신뢰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Z3YTA/btsL7GgkDeN/dlmngnPGBuOgCcZ1q84NkK/img.png)
링크 어그리게이션의 특징
- 여러 개의 포트를 하나의 링크처럼 동작하도록 설정하여 대역폭 증가 가능
- 특정 링크가 장애를 일으키면 자동으로 다른 링크를 사용하여 트래픽 우회
- STP의 단점을 보완하여 대역폭 낭비 없이 이중화 가능
링크 어그리게이션의 기술
- LACP (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 IEEE 802.3ad)
자동으로 여러 개의 포트를 하나의 논리적 링크로 묶어주는 프로토콜 - Static Aggregation
수동으로 링크를 설정하여 묶는 방식
4. 이중화 구성의 필요성
중·대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신뢰성 확보가 최우선이다. 단일 장애점(SPOF)이 존재하면 네트워크 전체가 마비될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이중화 방식주요 기능장점단점
스위치 본체 이중화 | 예비 스위치 전환 | 신뢰성 증가 | 비용 상승 |
포트 및 LAN 배선 이중화 | 백업 포트 및 배선 사용 | 장애 방지 | 설정 복잡 |
링크 어그리게이션 | 여러 링크를 하나로 묶음 | 대역폭 증가 | 관리 부담 |
네트워크 이중화는 기업 네트워크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며, 특히 대규모 환경에서는 단일 장애로 인해 전체 네트워크가 다운되는 상황을 방지해야 한다.
- 스위치 본체 이중화를 통해 네트워크 중심 장비의 장애 대비
- 포트 및 LAN 배선 이중화로 네트워크 연결의 가용성 유지
- 링크 어그리게이션을 활용하여 대역폭 활용도 극대화
이중화를 통해 안정적인 네트워크 운영을 실현할 수 있으며, 비용과 운영 복잡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이중화 방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CS 지식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입문] 라우터의 종류와 기능 및 이중화 전략 (0) | 2025.02.05 |
---|---|
[네트워크 입문] 라우터의 개념과 라우팅 프로토콜 (0) | 2025.02.05 |
[네트워크 입문] 스위치 종류와 로드 밸런서, 로드 밸런싱 알고리즘 (0) | 2025.02.05 |
[네트워크 입문] VLAN의 개념과 필요성 (0) | 2025.02.05 |
[네트워크 입문] 스위치(Switch)의 등장배경, 개념과 역할 (0) | 2025.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