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위치2 [네트워크 입문] 스위치 종류와 로드 밸런서, 로드 밸런싱 알고리즘 “📖 해당 내용은 『풍부한 그림과 사진으로 배우는 네트워크 쉽게, 더 쉽게』(저자: 미카미 노부오 저자)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레이어3(L3) 스위치와 레이어4~7 (L4~7) 스위치 개요 이전까지는 가장 일반적인 스위치인 레이어2(L2) 스위치에 대해 설명했다.하지만 네트워크 환경이 복잡해지고 데이터 트래픽이 증가하면서, 레이어3(L3) 및 레이어4~7(L4~7) 스위치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다.여기서는 각 스위치의 기능과 역할을 설명한다.1. 레이어3(L3) 스위치란?레이어3 스위치는 기존 레이어2 스위치에 라우팅 기능이 추가된 스위치이다.VLAN 간 통신이 필요할 경우, L3 스위치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라우팅할 수 있다.레이어3 스위치의 주요 기능VLAN 간 라우팅 지원: VLAN으로.. 2025. 2. 5. [네트워크 입문] 스위치(Switch)의 등장배경, 개념과 역할 “📖 해당 내용은 『풍부한 그림과 사진으로 배우는 네트워크 쉽게, 더 쉽게』(저자: 미카미 노부오 저자)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스위치의 등장과 네트워크 환경 변화기존의 리피터 허브(Repeater Hub)는 네트워크 데이터를 단순 중계하는 방식으로 동작했지만, 데이터 충돌(콜리전) 문제가 발생하여 네트워크 성능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었다.이에 따라 콜리전 도메인을 분할할 수 있는 브릿지(Bridge)와 스위치(Switch)가 등장하게 되었다.1. 기존 리피터 허브의 한계 (CSMA/CD 방식 문제점)리피터 허브는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전송로가 비어 있을 때만 송신 가능 (.. 2025. 2.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