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기반 하둡 실습 환경 구축: 네트워크 설정 가이드
하둡 실습을 위해선 VM(Ubuntu)의 네트워크 설정이 매우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cloud-init 비활성화, VM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 IP 수동 할당, 그리고 VMware Fusion과 VirtualBox 각각에서 네트워크 구성법을 단계별로 안내한다.
하둡 실습을 하려면 VM을 '최소' 2개 만들어야 한다 (master, slave1)
VM에 ubuntu 설치하는건 이글의 주제를 벗어나므로 ubuntu가 설치됐다고 가정하고 진행하겠다.
master, slave VM을 각각 생성하고 아래 과정을 각 vm마다 수행해주면 된다
Step 1. Cloud-init 비활성화
Ubuntu의 cloud-init은 부팅 시 네트워크를 포함한 다양한 설정을 자동 초기화한다.
직접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이를 먼저 비활성화해야 한다.
sudo touch /etc/cloud/cloud-init.disabled
sudo reboot
Step 2. VM 네트워크 어댑터 구성
[공통] 구성 개요
- Adapter 1 (Host Only) → Host ↔ VM 직접 통신용 (고정 IP 설정)
- Adapter 2 (NAT) → VM ↔ 인터넷 연결용 (DHCP 사용 또는 수동 설정
아래는 두가지 VM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둘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다른 VM을 사용해도 설정만 맞게 하면 문제 없다.
VirtualBox 설정
- VirtualBox → 도구 > 네트워크 에서
- Host Only Network 생성 (vboxnet0)
- NAT Network 생성 (NatNetwork)
- VM 설정 → 네트워크 탭
- Adapter 1: Host Only Adapter → vboxnet0
- Adapter 2: NAT Network → NatNetwork
VMware Fusion 설정
- VMware Fusion > 환경설정 > 네트워크
- Private to my Mac: Host Only와 유사 (VM ↔ Host 통신)
- Share with my Mac: NAT 역할 수행 (VM ↔ 인터넷)
- VM 설정 → 네트워크 어댑터 추가
- Adapter 1: Private to my Mac
- Adapter 2: Share with my Mac
Step 3. Netplan 파일 수정
Netplan 파일이란?
Netplan은 Ubuntu 17.10 이상 버전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네트워크 설정 도구이다.
기존의 ifconfig, interfaces 방식 대신, YAML 형식의 설정 파일을 사용해서 네트워크 구성을 선언적으로 관리한다.
이 Netplan 설정 파일은 시스템이 부팅될 때 적용되며, systemd-networkd 또는 NetworkManager를 통해 실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한다.
Netplan 설정 파일의 위치
Netplan 설정 파일은 보통 다음 위치 중 하나에 존재한다.
- /etc/netplan/01-netcfg.yaml
- /etc/netplan/50-cloud-init.yaml
여기서 50-cloud-init.yaml은 클라우드 이미지(Ubuntu Cloud Image) 기반 VM에서 주로 생성된다. VM에서 자동 네트워크 초기화를 담당하는 cloud-init이 이 파일을 만든다.
Netplan 파일의 구조
YAML 형식으로 되어 있고,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
network:
version: 2
ethernets:
인터페이스명:
addresses:
- IP주소/서브넷
gateway4: 게이트웨이
nameservers:
addresses:
- DNS서버1
- DNS서버2
- version: Netplan 구성 버전. 항상 2를 사용.
- ethernets: 유선 인터페이스 목록을 지정하는 블록.
- 인터페이스명: enp0s3, eth0 등의 실제 네트워크 장치 이름.
- addresses: 고정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지정.
- gateway4: IPv4용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
- nameservers: DNS 서버 설정.
Netplan 파일은 무엇을 하는가?
- 고정 IP 설정 (Static IP)
- DHCP 사용 여부 지정
- DNS 서버 설정
- 게이트웨이 지정
- 여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연결 방식 구성
이렇게 설정한 내용을 바탕으로, netplan apply 명령어를 통해 시스템 네트워크 설정에 반영할 수 있다.
왜 필요한가?
- systemd 기반으로 관리되는 Ubuntu의 네트워크는 예전보다 더 구조화된 방식이 요구된다.
- Netplan은 복잡한 스크립트 없이 YAML 파일만으로 네트워크 구성을 쉽게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 서버, VM, 클라우드 환경에서 네트워크를 자동화하거나 선언형으로 구성하는 데 매우 적합하다.
vi 편집기로 netplan 파일 편집
sudo vi /etc/netplan/50-cloud-init.yaml
netplan파일 예시
사용환경에 따라 아래처럼 설정한다.
1. Host-only 네트워크 (enp0s3)
- VirtualBox 또는 VMware에서 Host-only 네트워크를 만들었다면,
- 이 네트워크의 IP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주소를 지정해야 함.
예시:
- Host-only 어댑터 대역이 192.168.56.0/24이면
- IP: 192.168.56.102 같은 주소를 사용하면 됨 (다른 VM과 충돌하지 않는 선에서)
2. NAT 네트워크 (enp0s8)
- NAT 네트워크는 외부 인터넷과 연결되도록 라우터처럼 동작함
- NAT 대역이 172.16.2.0/24로 구성되어 있다면,
- IP: 172.16.2.102 와 같이 설정 가능
- gateway4: 172.16.2.1 → 이 네트워크의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
network:
ethernets:
enp0s3:
addresses:
- 192.168.56.102/24
nameservers:
addresses:
- 8.8.8.8
- 8.8.4.4
enp0s8:
addresses:
- 172.16.2.102/24
nameservers:
addresses:
- 8.8.8.8
- 8.8.4.4
gateway4: 172.16.2.1
dhcp4: true
version: 2
enp0s3 → Host Only Adapter
enp0s8 → NAT Adapter (DHCP + gateway 수동 설정)
Step 4. 설정 적용 및 확인
설정을 저장한 뒤 아래 명령어로 적용한다:
sudo netplan apply
- sudo: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네트워크 설정은 시스템 권한이 필요함)
- netplan: Netplan 명령어 도구
- apply: 설정 파일을 읽고, 변경 사항을 적용
이후 IP 주소가 정상적으로 할당되었는지 확인:
ip a
✅ 최종 체크리스트
- cloud-init 비활성화로 수동 네트워크 설정 가능
- VMware/VirtualBox 모두 Host Only + NAT 구성
- netplan 설정으로 고정 IP 및 인터넷 연결 설정 완료
- 이 모든 과정 master vm, slave vm에 각각 적용
설정이 완료됐다면 아래 글을 보고 자바와 하둡을 설치하면 된다.
https://konkukcodekat.tistory.com/251
[Hadoop] 하둡 설치 및 Standalone 모드로 wordCount 기본 예제 실습
Hadoop 실습 환경 구성 (VM 기반)https://konkukcodekat.tistory.com/250 [Hadoop] 하둡 실습을 위한 VM 환경 세팅 (virtual box, VMware Fusion)Ubuntu 기반 하둡 실습 환경 구축: 네트워크 설정 가이드 하둡 실습을 위해선 V
konkukcodekat.tistory.com
'Server-side 개발 & 트러블 슈팅 > 🐘 Hadoop (하둡)'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doop] 하둡 HDFS 실습 환경 설정 (Fully Distributed 모드) (0) | 2025.04.14 |
---|---|
[Hadoop] 하둡 설치 및 MapReduce 기본 예제 실습 (Standalone 모드) (0) | 2025.04.14 |
[Hadoop] 하둡 MapReduce 1.0 아키텍처와 동작 원리와 MapReduce 2.0의 개선 구조 (0) | 2025.04.09 |
[Hadoop] 하둡 MapReduce 동작 원리 (0) | 2025.04.09 |
HDFS(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 구조 및 작동 방식 (0) | 2025.04.03 |
댓글